mysql 썸네일형 리스트형 HansungVote 2022년 6월 ~ 2022년 11월 Spring Legacy 와 MySQL을 이용해 개발하였다. 학부생으로서 진행하였던 내 마지막 프로젝트이다. 그만큼 가장 숙련된(학부생기준 ㅋㅋ) 기술력으로 만들었고, 전교생을 상대로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학부생실력 수준에서는 보안이 해킹당하면 안되었기 때문에 고민의 고민을 더해 만들었다. 웹개발자로 일하고 있는 지금의 나를 만들어준 2개의 프로젝트 중 하나이다. 나 : 팀장, DB설계, BackEnd, FrontEnd, SQL작성 박XX : FrontEnd, 학교와 주기적으로 미팅 이XX : FrontEnd, SQL쿼리 임XX : Design, FrontEnd 이렇게 4명에서 진행했다. 사진만 빠르게 보고 적용된 기술을 설명하겠다. 1. RSA와 SHA256을 통.. 더보기 한성대학교 기자재 대여 통합 시스템 어느 학교도 그렇겠지만, 우리학교에서도 학생들에게 학업에 필요한 물품들을 대여해준다. 컴퓨터공학부에서는 거의 노트북을 빌려주는데, 대여 절차는 이렇다 1. 과사무실에 방문 2. 대여신청서 작성 3. 수령 위 과정만 보면 평범하지만 나에게는 이런 경험이 있다. 유니티엔진을 코딩하기 위해 GPU가 있는 노트북의 대여가 필요했던 나는 삼성오디세이 노트북을 빌리러 과 사무실에 방문했었다. 하지만 오디세이는 다 대여되고 존재하지 않았다. "아니 없는거 알았으면 여기까지 안왔지" 라는 생각을 품고 쒸익쒸익 거리며 지내고 있던 중 2022년 3월 실사용 목적으로 교수님께 "한성대학교 기자재 대여 웹"을 주제로 부여받고 졸업작품으로 개발하고 있던 친한 과동기가 나에게 팀 합류를 부탁했다. 그때부터 개발팀 "민수는행복해.. 더보기 스터디카페앱 DB관리자 웹페이지 #서론 우리학교는 좀 특이하다. 같은 컴퓨터공학부 소속이여도 학부내에서 여러개로 찢어지는 트랙에 소속되어 해당 트랙 중심으로 강의를 듣는다. 우리 학부는 "모바일소프트웨어", "빅데이터", "디지털콘텐츠&가상현실", "웹공학" 4개의 트랙이 존재한다. 나는 그중에서 "모바일소프트웨어", "디지털콘텐츠&가상현실" 트랙 소속이다 (2개 골라야한다) 나는 위 트랙 소속으로써 모바일 앱 제작 IDE(안드로이드 스튜디오, Xcode )와 게임엔진(Unity)를 배웠다. 물론 저것만 배운건 아니고,, 굵직한 것만 저정도다. 그 후 학교에 다니지 않고 기업으로 출근하여 실무경험을 쌓는 제도인 IPP제도의 실습생으로 선발되었다. 그럼 기업체에가서 내가 배운 모바일과 게임으로 실무를 봤냐고? 아니다. 내가 간 기업체는 .. 더보기 Spring : 이미지를 MySQL에 저장하고 출력 해봤다 웹페이지에서 이미지를 띄우는 일은 백엔드를 개발하다 보면 자주 일어나는 일이다. 나 역시 이미지를 출력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해서 열심히 구글링을 해본결과... 전부 다 서버에 이미지를 저장하고, html 태그 안에 이미지의 경로를 적어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식이였다... 근데 난 MySQL에다가 사진을 저장하고 싶단 말이지? 이번에도 어김없이 박치기를 한 결과 그 방법을 포스팅한다. #1. 이미지를 저장할 테이블부터 만들자 이미지를 저장하는 컬럼의 데이터타입은 LONGBLOB 이다. LONG Binary Large OBject의 약자이며 사진, 음악, 바이너리 형식으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을 담을 수 있다. 최대크기는 4GB이며, 가변길이 데이터타입이니 안심하고 쓰면된다. 그렇다고 동영상 같은거 함부로 올리면.. 더보기 Spring : 스프링으로 MySQL을 쿼리하는 API를 만들어 보았다 요즘 진행하고 있는 멀티플렛폼 프로젝트 중에 웹서버를 스프링으로 사용하는 프로젝트가 있다. 웹의 기능을 똑같이 Android, iOS로 개발중인데, 데이터베이스를 MySQL을 쓰고있다. 당연하게도 멀티플렛폼이니 모바일과 웹 모두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야한다. 그러나 Android Studio도 그렇고, Xcode도 그렇고 MySQL과의 직접 연결을 보안상의 이유로 엑세스를 지원하지 않는다. 하지만 어딘가에는 답은 있다. 바로 중간에 웹서버를 한번 거쳐서 웹서버에 서비스를 요청하는 방식이다. 이렇게되면, 1. 모바일에서 웹서버로 서비스를 요청한다. 2. 웹서버는 데베에 접근하여 쿼리를 한다. 3. 웹서버가 모바일에게 쿼리결과를 던져준다. 4. 모바일에서 받는다. 순서인 것이다. 그런데 이를 구현하려고 .. 더보기 이전 1 다음